Fire protection PE practice exam Q.81

이 문제는 한 사람이 산소 농도 12%에 15분 노출된 후 산소 농도가 8%로 줄어들었을 때, incapacitation (저산소증이나 기절 등으로 보면 될듯)에 빠지기 까지 걸리는 총 시간을 구하라는 문제다. 선택지는 아래 4개.

답은 직관적으로 보면 2초면 풀 수 있었다.

일단 15분이 지났다니까 A는 아니다. 산소 농도가 12%였을때 15분 버텼는데 8%로 줄어들면 더 짧게 버티지 더 길게 버티지는 못할 것이다. 따라서 C나 D도 아니다.

답은 명확히 B인데, 저산소증 관련은 NFPA에는 찾기 힘들것 같아 우선 PE reference handbook에 incapacit 로 검색해보니 10.3.4.7에 공식이 나온다.

$t_{I_o} =e^{8.13 – 0.54(20.9 – \%O_2)}$

$\%O_2$에 12%와 8%를 넣으면 각각 시간은 27.8 min과 3.2 min이 나오는데 이 이후로 막혔다.

두 번째 식을 사용하는건가?

두 번째 식은 같은 농도 하에서 $t_{I_o}$가 기절까지 걸리는 시간일 때, $t$ 시간 만큼 지났을 때는 어느 정도 기절? 한 것인지를 계산하는 식 같고

그 밑에 있는 세 번째 식 $F’_{I_o}$ 는 미분을 한 것 같이 프라임이 달려 있는데 의미는 1분당 $\frac{1}{t_{I_o}}$ 만큼씩 기절을 한다는 것 같다.

근데 결국 이 공식을 어떻게 써서 농도가 변화할 때 걸리는 총 기절 시간을 구하라는 것인지는 못 구했다.

하는 수 없이 답을 봤는데, 일단 답은 예상한대로 B가 맞았다.

풀이를 보니 간단했다.

첫 번째 공식을 써서 12% 산소 농도에서 기절까지 걸리는 시간 (27.8 min)을 구한 후, 15분이 지났다고 문제에서 나왔으니까, 세 번째 식을 써서 12% 산소농도에서 15분 노출은 기절까지 약 $15 \times \frac{1}{27.8}=0.5396$ 만큼 진행되었다는 비율을 구한다.

기절까지 걸리는 시간의 비율을 1이라고 보는게 문제 풀이에서 중요한 것이었는데,

결국 1 = 0.5396+ (8% 산소농도에서의 시간 비율) 이 풀이의 핵심이었고

첫 번째 식에서 8%에 노출되면 기절까지는 3.2 min 이 걸리니까, 1분당 비율은 $\frac{1}{3.2}$ 고, 걸리는 시간은 $t_{8\%O_2}$이라고 치면

$1=0.5396 + \frac{1}{3.2} \times t_{8\%O_2} $

$t_{8\%O_2} = 1.47 min $

그래서 총 시간은 문제에서 12% 농도로 있었던 시간 15 min에 8% 농도로 있었던 시간 1.47 min을 더해서 16.47 min = 약 17min 으로 답이 B였던 것이다.

답을 보니 문제가 어렵지는 않은데 Reference handbook에 나와 있는 공식만 보고서는 1 이 기절까지 걸리는 비율이라는 것을 바로 깨닫지 못했던게 문제였다.

“each minute of exposure”을 보면 총 비율은 1이겠구나 떠올릴 만도 한데.

PE 연습문제 85개를 전부 풀면서 유일하게 풀지 못했던 문제였던것 같다. 답은 맞았지만..

실제 시험때는 시간에 쫒겨 긴장될테니 이런 문제는 깊게 고민하지 말고 그냥 직관으로 찍고 넘어가야겠다.

Fire protection PE practice exam Q.73

73번 문제는 교회 성가대의 피난로 길이 계산이다.

그림을 보고 처음엔 pews라는 단어만 보고 헷갈려서 빗금쳐진 부분이 2층 성가대고 밑에 Pews는 예배 온 사람들이 앉는 의자라고 생각했다.

다시보니 choir balcony가 pews 를 포함하고 있어서 이 pews가 사람들이 앉는 곳이 아니라 choir가 앉는 곳이라는걸 알아챘다.

수치가 나와 있어서 유추 가능한 피난경로를 고려해보면, 가장 출입구에서 먼 포인트는 당연히 제일 아래쪽 중간지점일것이고, 양쪽이 대칭이니 아무 쪽이나 잡고 계산해보니 아래와 같았다.

Choir balcony 주황색 부분 폭이 안 나와 있어서 1번은 벽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계산했고, 그러면 40ft의 절반에다가 (50-40) /2 /2를 더해주면 2번 시작지점이 된다.

2번은 나와 있는 20ft에다가 주황색 5ft의 절반을 더해주면 되고,

3번은 (50-40) /2 /2 에 45ft에다가 계단폭 5ft의 절반을 다시 더해주면 된다.

계단폭은 총 교회 폭이 150ft로 문제에 주어져 있으니 150-45-50-45 =10 ft를 구하고 양쪽에 계단이 있으니 /2를 해서 5ft를 유추했다.

이렇게 1, 2, 3, 4 를 구해서 모두 더하니 22.5 + 22.5 + 50 + 33.5 = 128.5 ft가 나왔다.

근데 선택지에는 110, 120, 140, 150 ft 밖에 없다.

뭐지? 틀리게 계산한건가 싶다가 일단 제일 가까운 120ft를 찍었는데 답을 보니 120ft가 맞긴 했다.

근데 해설이 좀 이상하다.

22.5 + 20 + 45 +2.5 + 3 + 22 + 6 = 121 ft라는데..

여기서 22.5 + 20 + 2.5는 pews를 돌아서 center of the hallway로 가는 거리라고 해설에 설명이 있다. 그러면 해설이 본 루트는 아래와 같이 된다.

해설대로 루트를 그려보면 파란색 부분이 비게 된다.

결국 121 ft에 7.5 ft 더해서 내가 계산한 128.5ft 가 맞는 것 아닌가?

선택지에 130 ft가 없어서 그렇지 있었으면 억울하게 틀릴 뻔 했다.

fire PE practice exam이 그리 어렵지는 않은데 해설이 이상한 게 종종 있다.. 이 부분은 내가 잘못 파악한 것일수도 있으니 출제자한테 답이 왜 121ft 인지 물어보고 싶다.

Fire protection PE practice exam Q.61

PE 61번 문제는 NCEES의 정답이 틀렸다. 확신할 수 있다.

61번 문제는 문 크기가 48 inch wide, 72 inch tall 이고 손잡이가 문 가장자리에서 6 inch 떨어져 있는 문의 door closer가 5N의 힘을 필요로 할 때, 50N의 힘으로 문을 열려면 문내외부의 최대 압력차가 몇 inch H2O 이어야 하냐는 문제다.

NFPA 92에서 검색해봤지만 없어서 reference handbook에서 검색해보니 7장 Smoke control의 7.1.1 Door Opening Forces에 아래와 같이 공식이 나와 있었다.

왜 귀찮게 문제에서 N과 inch를 혼용해서 사용했는지 모르겠지만 inch를 m로 환산해서 나머지는 대입만 하면 되는 문제이니 쉬운 문제네 하고 답을 구했다. 내가 구한 답은 35.319 Pa였다. 이걸 inch H2O로 환산하면 0.1418 in.H2O 였다.

그런데 답을 보니 선택지에 비슷한 숫자가 없었다.

오잉? 어디서 틀린거지 하고 해설을 봤다.

해설의 공식과 Reference handbook의 공식이 서로 다르다. 해설은 door closer의 힘을 곱했고, reference handbook은 더했다.

door closer는 문을 열고 닫을 때 당연히 추가적인 힘이 들게 하는 장치이므로 힘을 더해야 맞는것 같은데, 해설은 왜 곱했지?

이걸 확인하려고 구글을 뒤져보니 IBC에 이 공식이 나와 있었다.

정답은 더하는게 맞는거잖아.

PE practice exam의 문제의 선택지 4개도 잘못됐고 해설도 틀렸다.

실제로 해설에서 말한 80.88 in.H2O는 0.2bar인데, 이건 공기의 압력으로 쳤을 경우엔 굉장히 무지막지하게 쎈 압력이다. 말이 안된다. 이 압력이면 창문은 다 깨져나가는건 물론이다.

내가 예전에 일하면서 찾아봤던 기억으로는 바람이 엄청 쎈 경우에 약 0.01 bar의 압력이 걸린다고 알고 있어서, 확인해보니 초속 50 m/s 의 강한 태풍이면 약 0.0153 bar가 창문에 걸린다고 한다. 0.2 bar는 말도 안되는 수치의 압력인 것이다.

내가 계산한 답은 35.319 Pa = 0.000353 bar 이므로 적당한 답이 맞다는 걸 재확인 할 수 있었다.

저번에 어떤 문제를 풀면서 그것도 답이 틀린 것 같았는데 이번 61번을 풀면서 다시 느꼈다.

얘네 Practice exam 만들면서 검수 별로 안했구나.